top of page
검색

조선대학교 업로드 국제경영론-환율인상효과에대한이론과모형 보고서 IF

  • ientifi7626
  • 2020년 12월 26일
  • 3분 분량

조선대학교 업로드 국제경영론-환율인상효과에대한이론과모형 보고서




조선대학교 업로드 국제경영론-환율인상효과에대한이론과모형


많은 시간 공들여서 만든 작품인 만큼 좋은 평가 받았으면 좋겠구요~~ 강의를 듣는 모든 학생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많은 이용 부탁 드립니다ㅋㅋㅋㅋ A+++을 향해~!!!!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케인즈안 접근방법


1) 기본가정

2) 케인즈안 이론의 성격

3) 소득조정의 과정

(1) 소규모 개방경제 균형 조건

(2) 개방경제 국민소득 결정

(3) 국제수지 불균형하에서 소득조정

4) 케인즈 모형의 한계


2. 탄력성 접근방법


1) 마샬러너 조건

2.) J-Curve 효과

3) 탄력성 접근 이론에 대한 설명


3. 총지출 접근방법


1) 총지출 접근방법이란

2) 수식에 의한 설명

3) 평가절하의 효과

(1) 한계지출성향효과

(2) 생산효과

(3) 직접효과

4) 총지출 접근방법의 한계


4. 고급 케인즈안 접근방법 (가격 - 소득접근방법)


1) 의의

2) 이론적 배경

3) 모형

4) 지출에 대한 교역 조건 효과

5) Harberger Condition (외국의 성향을 고려한 경우)

6) Laursen - Metzler Effect


5. IS - LM - BOP 접근방법


1) 케인즈안 모형 (Keynesian model)

2) 멘델 - 플레밍 모형 (Mundell - Fleming Model)

3) 통화론적 접근방법 (Monetary model)

4) 돈부쉬 모형 (Dornbusch model)



Ⅲ. 결론


본문내용

◈ 환율인상 효과에 대한 이론과 모형


Ⅰ. 서론


환율결정에 관한 이론은 오래전부터 많은 학자들에 의해 끊임없이 연구 논의되어 왔고 이에 따른 많은 주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왔다. 이를 크게 분류하여 보면 케인즈안 접근방법, 탄력성 접근방법, 총지출 접근방법, 가격 - 소득 접근방법, 통화론적 접근방법, 기대 접근방법, 구매력평가 접근방법, 금융자산 선택 접근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총지출 접근방법은 경상수지가 총지출 수준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총지출이 경상수지와 환율을 결정한다고 한다. 구매력평가 접근방법은 환율이 국내통화의 구매력에 대한 외국통화구매력의 비율이라는 주장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통화론적 접근방법은 구매력평가 접근방법을 발전시켜 환율의 결정요인을 통화량, 국민소득, 이자율, 물가수준 등으로 보아 이론을 전개시킨다. 한편 기대접근방법은 환율변동에 대한 기대가 환율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다는 가정에서 출발하며 금융자산선택 접근방법은 국내채권과 국외 채권이 불완전대체제라는 가정하에 채권의 기대수지율에 따라 금융자산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환율이 결정된다고 한다. 여기서 한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기대접근 모형이나 금융자산선택모형은 모두 통화론적 접근방법의 분류에 속한다는 것이다. 본 글에서는 환율결정에 관한 주요이론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환율인상효과에 대한

이론과 모형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케인즈안 접근방법


1) 기본가정

2) 케인즈안 이론의 성격

3) 소득조정의 과정

(1) 소규모 개방경제 균형 조건

(2) 개방경제 국민소득 결정

(3) 국제수지 불균형하에서 소득조정

4) 케인즈 모형의 한계


2. 탄력성 접근방법


1) 마샬러너 조건

2.) J-Curve 효과

3) 탄력성 접근 이론에 대한 설명


3. 총지출 접근방법


1) 총지출 접근방법이란

2) 수식에 의한 설명

3) 평가절하의 효과

(1) 한계지출성향효과

(2) 생산효과

(3) 직접효과

4) 총지출 접근방법의 한계


4. 고급 케인즈안 접근방법 (가격 - 소득접근방법)


1) 의의

2) 이론적 배경

3) 모형

4) 지출에 대한 교역 조건 효과

5) Harberger Condition (외국의 성향을 고려한 경우)

6) Laursen - Metzler Effect


5. IS - LM - BOP 접근방법


1) 케인즈안 모형 (Keynesian model)

2) 멘델 - 플레밍 모형 (Mundell - Fleming Model)

3) 통화론적 접근방법 (Monetary model)

4) 돈부쉬 모형 (Dornbusch model)



Ⅲ. 결론


















◈ 환율인상 효과에 대한 이론과 모형


Ⅰ. 서론


환율결정에 관한 이론은 오래전부터 많은 학자들에 의해 끊임없이 연구 논의되어 왔고 이에 따른 많은 주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왔다. 이를 크게 분류하여 보면 케인즈안 접근방법, 탄력성 접근방법, 총지출 접근방법, 가격 - 소득 접근방법, 통화론적 접근방법, 기대 접근방법, 구매력평가 접근방법, 금융자산 선택 접근방법1)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총지출 접근방법은 경상수지가 총지출 수준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총지출이 경상수지와 환율을 결정한다고 한다. 구매력평가 접근방법은 환율이 국내통화의 구매력에 대한 외국통화구매력의 비율이라는 주장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통화론적 접근방법은 구매력평가 접근방법을 발전시켜 환율의 결정요인을 통화량, 국민소득, 이자율, 물가수준 등으로 보아 이론을 전개시킨다. 한편 기대접근방법은 환율변동에 대한 기대가 환율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다는 가정에서 출발하며 금융자산선택 접근방법은 국내채권과 국외 채권이 불완전대체제라는 가정하에 채권의 기대수지율에 따라 금융자산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환율이 결정된다고 한다. 여기서 한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기대접근 모형이나 금융자산선택모형은 모두 통화론적 접근방법의 분류에 속한다는 것이다. 본 글에서는 환율결정에 관한 주요이론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케인즈안 접근방법


1) 기본가정2)

① 케인즈가 제시한 국민소득모형은, 대공황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서 기본적으로 임금을 포함한 물가의 경직성과 불완전고용 상태의 경제를 상정하고 있다.

② 불환지폐에 의한 관리통화제도와 고정환율제도를 전제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수지 적자가 조정되는 과정을 보게 되면, 예를 들어 우리 나라가 외제 선호로 인해 무역수지적자가 발생하면 국산품에 대한 총수요가 총공급을 하회하게 되어 재고가 발생되고 재고가 누적되다보면 국내 생산이 감소되어 국민소득도 따라서 감소하게 된다. 또한 국민소득의 감소는 수입수요를 감소시켜 경상수지 적자를 유발시키게 될 것이다. 이 때 무역수지 불균형을 조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가 되는 것이 ‘국민소득’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케인즈의 국제수지조정이론을 ‘소득조종이론’이라고 한다. 즉 무역수지 불균형을 조정하는 매개변수가 ‘물가’라는 고정학파의 물가조정이론과 대비된다고 할 수 있겠다.


2) 케인즈안 이론의 성격3)

→ 국제수지 불균형 조정할 수 있는 변수가 소득이라는 점

→ 고전학파 물가조정이론과 같이 대외균형을 위해 대내균형을 희생하고 있다는 점. 경상수 지 적자문제 해소를 위해서 국민소득의 감소를 감수해야만 하고 그것은 국내실업 증대라 는 대내균형의 희생을 감수해야 할 것임을 뜻하기 때문

→ 가격변동에 의한 조정가능성을 무시하고 있다라는 점,

→ 케인즈는 비록 완전하지는 않지만 소득의 변화만으로도 경상수지 적자 또는 흑자로 인한 국제수지 불균형이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라는 점.


3) 소득조정의 과정4)

(1) 소규모 개방경제 균형조건

소규모 개방경제에서는 해외물가 수준이 주어짐으로 고정환율 제도하에서는 국내물가가 해외물가에 환율을 곱한 수준 (rp*)에서 결정된다. 이는 폐쇄경제하의 케인즈 모형에서 잉여생산시설이 중재한다고 전재하여 총 공급곡선의 수평선 형태가 되어 물가가 경직적이라는 가정과 동일한 결과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국민소득 수준은 주로 총수요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소규모 개방경제에서는 반향효과(수출이나 수입이 외국의 수득이나 무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자국의 수축과 수입에 영향을 미친다.)가 없다고 전재한다.

거시경제 균형을 총공급과 총수요가 일치하여, 경제주체들이 생산량과 소비량을 변동시키려고 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총공급이 총수요보다 많으면 재고가 쌓여 기업들이 생산량을 감축하려 할 것이고, 그 반대라면 생산량을 증가시키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나라의 총공급 즉 총생산량은 생산에 참여한 생산요소에 대한 임금?이자 등 요소비용과 같고 그것은 생산요소를 제공한 노동자와 같은 경제주체들의 입장에서는 임금소득, 이자소득 등 국민소득(Y)이 된다. 그런데 이 이론에서는 국민소득만을 파악하므로 정부분문은 없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20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조선대학교 업로드 국제경영론-환율인상효과에대한이론과모형

파일이름 : [조선대학교]국제경영론-환율인상효과에대한이론과모형.hwp

키워드 : 조선대학교,국제경영론,환율인상효과에대한이론과모형,환율인상효과,이론과모형,업로드

자료No(pk) : 11029276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The Lottery by Shirley Jackson (번역) Down WK

The Lottery by Shirley Jackson (번역) Down 자료문서 (첨부파일).zip The Lottery by Shirley Jackson (번역) Shirley Jackson 의 The Lottery 라는 작품의 원본에 대한...

 
 
 

Comentarios


게시물: Blog2_Post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0 by ientifi7626.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