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문화와 지역경제의 발전 다운 TM
- ientifi7626
- 2020년 12월 18일
- 2분 분량
예술문화와 지역경제의 발전 다운
예술문화와 지역경제의 발전
예술문화와 지역경제의 발전
예술문화와 지역경제의 발전
목차
* 예술문화와 지역경제의 발전
Ⅰ. 밀려오는 ‘제 4의 물결’
Ⅱ. 문화에 의한 지역개발
* 참고문헌
* 예술문화와 지역경제의 발전
I. 밀려오는 `제 4의 물결`
문화경제학을 탄생 ? 발전시킨 다른 하나의 배경은, 토플러가 지
적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더불어 제3차 산업이
라 불리우는 서비스산업의 비증이 크게 증대하고, 그 중에서도 예
술문화서비스와 관련된 분야가 이른바 `제4의 물결`이 되여 급격히
몰려오고 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그리하여 `문화에 의한 도시
(지역) 활성화`가 지역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도처에서
확인되면서 각 지역 자치체들이 적극적으로 문화정책을 전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추세도 빼놓을 수 없다.
1967년에, 스위스의 바젤시(州)에서 피카소의 그림을 구입할 것
인가의 문제를 놓고 주민투표가 이루어진 적이 있었다. 주민투표는
지역사회에 대해서 그림이 갖는 의의와, 피카소의 작품과 같은 근
대회화가 갖는 가치 등에 관한 학습을 행한 다음에 실시하였는데,
결과는 식자들의 걱정을 뒤엎고 53.9%의 찬성으로 가결되었다. 이
투표결과가 주민의 어떠한 선호를 반영한 것인가를 조사 분석한
B.S. 프레이(B.S. Frey) 등의 문화경제학자들에 의하면, 찬성의 이유
로서 회화가 문화자산으로서 뿐 아니라, 문화적 가치의 존재가 지
역의 대외적인 평가(이미지)를 높여 주고, 시대를 초월해서 후세까
지도 감상할 수 있게 할 것이며, 필요한 때에는 언제라도 감상할 수
있으리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주민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얻게 된
것이라 분석하고 있다.
재정적으로 여유가 없는 스위스의 조그마한 도시의 주민들이 비
싼 피카소의 그림을 구입하자는데 동의하였다고 하는 사실은 스위
스이니까 가능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대중들이 예술문화
의 가치를 새로이 인식하기 시작하고, `예술문화화`라는 `제4의 물
결`이 그들의 생활 속에 깊이 파고들고 있다는 사실은 법세계적인
현상이 아닌가 한다.
II. 문화에 의한 지역계발
이와 같이 예술문화자산은 사회생활의 공통의 기반으로서 사람
들에게 공통의 커뮤니케이션의 장(場)을 공급하고, 그에 따라 지역
사회에 대해서 내외의 평가와 이미지를 높이는 요소를 지니고 있어
주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높여 준다. 거기에 문화의 경제적 파급
효과도 작지 않다. 하나의 예만을 들어보면, 광주에 7,174억 원을
투자하여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건설은 생
산유발효과 약 9,877억 원, 역내 부가가치유발 약 1,890억 원,고용
창출 12,724명, 비용편익비율은 0.6l~0.70(문화시설의 경우 0.5이상
이면 경제적 타당성 인정됨)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효과들에 착
안해서 지역개발을 추진한다면 내외의 문화교류에 의한 새로운 정
보의 발수신(發受信)이 이루어지고, 그것이 다시 새로운 문화의 수
요로 피드 백 될 것이다. 채화나 서비스시장은 공통의 문화적 이해
(理解)가 있어야만 성립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화에 의한 지역개빌`
은 경제발전과 양립하게 되며, 또한 그것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으
로서 높이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문화관광부의 ``2004년도 문화관광축제종합평가보고서" 에
의하면 당년 한 해 동안 지정축제 23건, 예비축제 14건에 모여든
관광객의 수는 2,200만 명에 달하였으며, 그로 인한 경제효과는 약
8천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체 마다 축제에 열
을 올리고 있는 이유를 거기에서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해 온 바와 같이, 첫째 소비자의 문화적 욕구의 증
대재중화), 둘째 기업의 문화적 지향과 메세나활동에서 보는 바와
같은 사회적 공헌, 셋째 문화를 활용한 지역개발 등이 문화의 대중
화와 보편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문화화 한상이 문화경제학을 탄
생시킨 배경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서정교, 2003, 문화경제학. 한올출판사
- 문화관광부, 2007, 문화정책백서
- 정철현, 2005, 문화연구와 문화정책, 서울경제경영
- 서진수, 2005, 문화경제의 이해
- 한국문화경제학회, 2005, 문화경제학만나기
- 문화관광부, 2007, 문화산업을 통한 지역경제발전 모델 제시
[문서정보]
문서분량 : 3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예술문화와 지역경제의 발전
파일이름 : 예술문화와 지역경제의 발전.hwp
키워드 : 예술문화와,지역경제,발전,지역경제의
자료No(pk) : 1102694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