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스마트폰 자료실 스마트폰시대의 특징과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정보격차의 문제점 및 정보격차 전망 및 정보격차 해결방안 업로드 BP

  • ientifi7626
  • 2020년 12월 8일
  • 3분 분량

스마트폰 자료실 스마트폰시대의 특징과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정보격차의 문제점 및 정보격차 전망 및 정보격차 해결방안 업로드




스마트폰 자료실 스마트폰시대의 특징과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정보격차의 문제점 및 정보격차 전망 및 정보격차 해결방안


[스마트폰] 스마트폰시대의 특징과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정보격차의 문제점 및 정보격차 전망 및 정보격차 해결방안


한국 사회 현실과 쟁점

<스마트폰 시대의 정보

격차의 심화>


목차


서론

디지털 디바이드, 모바일 디바이드

스마트폰 이용자 vs 비이용자의 격차

스마트폰 이용자 내부의 정보격차

5. 결론



시작하기에 앞서


1. 정보화 사회 - 정보가 유력한 자원이 되고 정보의 가공과 처리에 의한 가치의 생산을 중심으로 사회나 경제가

운영되고 발전되어 가는 사회.

지식산업이 주도하는 `지식사회` , `물질산업 중심사회`에서 `정신산업 중심사회`로


2. 정보격차 ? 정보 격차 (Digital Divide)는 교육, 소득수준, 성별, 지역(예: 도시 대 농어촌) 등의 차이로 인해 정보(information)에 대한 접근과 이용이 차별되고 그 결과 경제사회적 불균형이 발생하는 현상. (한국어 위키백과)


‘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또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한 정보통신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기회의 차이’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



3. 기술과 사회변동과의 관계:


기술결정론 : 기술은 독립적 변수


(1) 긍정적 관점 : B. Fuller, D. Bell (낙관론)

(2) 부정적 관점 : J. Ellul, J. McDermott (비관론)


사회결정론 : 기술은 종속적 변수


(1) 중립적 - D. Sarnoff; 기술보다 사회적 요인을 강조

(2) 상황적 - Sola Pool, R. Kling; 지도자 정책의지에 따라 달라짐.



하고싶은 말

문제제기: 스마트폰 확산으로 정보 격차가 심화


1) 스마트폰 급속 확산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광범위 영향

2)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방식 및 사회적 관계 형성에 있어 주도적 매체로 등장, 삶의 방식도 재조직화

3) 스마트폰 혁명에 따른 부정적 사회변화 등장


하고싶은 말

문제제기: 스마트폰 확산으로 정보 격차가 심화


4) 부정적 현상 중 두드러진 문제 :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으로 정보 접근 및 활용 vs 그럴수 없는 사람 간의 격차가 발생

5) 디지털 디바이드는 점차 완화, 반면

스마트폰 디바이드는 오히려 점차 심화양상

6) 정보사회의 새로운 이중적 분할

(집단 간 분할 vs 집단 내 분할)


가설

스마트폰 이용의 급속한 증가 및 압축성장 과정에서 개인간의 정보 접근 격차를 비롯, 질적 활용, 의식 격차가 벌어짐

스마트폰 이용자 내부에서 제한적 사용자 vs 확장적 사용자 사이의 스마트폰 활용 격차가 더 커질 것


이론적 자원 및 자료수집

이론적 자원

Chircu & Mahajan, 2009

모바일 격차는 인터넷 디지털 격차와 달리 보유자/비보유자, 이용자/비이용자의 구분보다 기본적인 서비스만 사용하는 사람과 진보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의 구분이 더 중요!


Rice & Katz, 2003

기본적 사용자 vs 진보된 사용자,

디지털 격차의 개념 :

깊이(이용자vs비이용자의 비율) vs 폭(다양한 서비스 이용)


이론적 자원 및 자료수집

연구방법

1) 통계자료 조사

2) 심층면접 조사

- 인터뷰

- 설문지


디지털, 모바일 디바이드

디지털 디바이드

- 정보격차의 의미 변화

기존 : 정보기기의 접근, 이용률의 차이

현재 : 생산적 활용수준의 차이로 확장


(표 2, 요인들은 각각 독립적)

기회 격차: 경제적 여건의 차이

활용 격차: 부가가치 창출

수용 격차: 활용으로 생활을 풍요롭게


보이는격차 -> 보이지않는격차,

집간 간 격차 -> 집단 내 격차로 확대



디지털, 모바일 디바이드

모바일 디바이드

<표4> 이용자, 비이용자 격차 많이 줄어듬.

일반폰 모바일 격차 역시 미미

그러나 스마트폰 등장으로 격차 다시 확산.


<그림 1> 인터넷 기반 사회의 정보 격차의

추이와 스마트폰 보급 이후 모바일 정보

격차의 새로운 사이클




디지털, 모바일 디바이드

스마트폰의 매체적 특성

1) 이동성과 시공간 제약의 탈피

2) 개인화와 표현적 욕구를 촉진

3) 융합된 미디어와 기능 확장성이 월등함



디지털, 모바일 디바이드



모바일 디바이드

의 4가지 격차


스마트폰 이용자 vs 비이용자

사회경제적 디바이드

1) 스마트폰 이용자 현황과 추이

- 1여년만의 급성장함 (표 7)


스마트폰 이용자 vs 비이용자

사회경제적 디바이드

1) 스마트폰 이용자 현황과 추이

남성, 낮은연령, 학력과 수입 높을수록 비율 높음

주로 20대, 30대에 집중

성별, 연령별, 직업별, 학력별, 소득별 격차 상당.

(뒷페이지 표 8 참고)


스마트폰 이용자 vs 비이용자

사회경제적 디바이드

1) 스마트폰 이용자 현황과 추이



육체노동자 : 블루컬러

사무노동자 : 화이트컬러


스마트폰 이용자 vs 비이용자

사회경제적 디바이드

1) 스마트폰 이용자 현황과 추이



이용자 주로 20, 30대로 연령별 격차 매우 큼 (표 9)

하지만 스마트폰 대중화로 연령대 보급률 점차 높아짐(그림 11)


스마트폰 이용자 vs 비이용자

사회경제적 디바이드

1) 스마트폰 이용자 현황과 추이

직업군 역시 사무직, 전문직

에서 전 직종으로 빠르게 확산

(표 10)


스마트폰 이용자 vs 비이용자

사회경제적 디바이드

2) 정보취약계




[문서정보]


문서분량 : 54 Page

파일종류 : PPTX 파일

자료제목 : 스마트폰 자료실 스마트폰시대의 특징과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정보격차의 문제점 및 정보격차 전망 및 정보격차 해결방안

파일이름 : 3000원][스마트폰] 스마트폰시대의 특징과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정보격차의 문제점 및 정보격차 전망 및 정보격차 해결방안.pptx

키워드 : 스마트폰,스마트폰시대,특징과,사용,따른,정보격차,문제점,전망,자료실,스마트폰시대의

자료No(pk) : 11062021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The Lottery by Shirley Jackson (번역) Down WK

The Lottery by Shirley Jackson (번역) Down 자료문서 (첨부파일).zip The Lottery by Shirley Jackson (번역) Shirley Jackson 의 The Lottery 라는 작품의 원본에 대한...

 
 
 

Comments


게시물: Blog2_Post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0 by ientifi7626.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