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자료실 교육 자료실 존 로크의 교육론 레폿 FU
- ientifi7626
- 2020년 12월 18일
- 3분 분량
사회과학 자료실 교육 자료실 존 로크의 교육론 레폿
사회과학 자료실 교육 자료실 존 로크의 교육론
[사회과학][교육] 존 로크의 교육론
존 로크의 교육론
◈ 내용 살펴보기 ◈
제1장 신체의 건강에 대하여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Sound mind in a sound mind)?"?이말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상태를 짧지만 완벽하게 묘사하고 있다. 인간의 행복과 불행은 대부분 그 원인이 자신에게 있다. 지혜롭게 방향을 제시해주는 건전한 정신이 없으면 올바른 길로 들어설 수 없고 올바른 길로 들어섰다고 하더라도 신체적으로 결함이 많고 연약하면 발전해 나갈 수 없다.
인간을 위대하게 변모시키는 것은 바로 이 `교육`이다. 연약한 유아기에 받은 인상은, 아무리 감지하지 못할 정도로 미미한 것이라도, 상당히 중요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5. 따뜻하게 입히는 것
겨울이든 여름이든 아이를 너무 따뜻하게 입히거나 감싸지 말라는 것이다.
습관
어릴 때에는 아무리 더워도 찬 땅바닥에 앉거나 차가운 음료를 마시지 못하도록 엄하게 금지하는 습관이 몸에 배도록 해야 한다.
옷
아이들의 옷을, 특히 가슴부분을 절대로 꽉 끼이게 입혀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자연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대로 몸매를 만들어 가도록 여지를 남겨둬라.
꽉 죄는 옷의 폐해
가슴이 좁아지고, 호흡이 가빠지고 악취가 나며, 폐병이나 허리가 구부정해지는 것 등이 꽉죄는 코르셋이나 옷을 입힐 때 자연히 거의 항상 초래되는 현상들이다.
충분한 수면
아이의 성장과 건강에 수면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도 없기 때문이다.
의약
아이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어떤 약도 아이에게 먹이지 말라는 것이다.
30. 건강관리의 수칙
바깥공기를 충분히 마시게하고, 운동을 시키고, 잠은 충분히 재우고, 식사는 검소하게 하며, 와인이나 알코올성 음료는 절대 마시지 못하게 하고, 약은 거의 또는 전혀 복용하지 못하게 하고, 너무 따뜻하거난 꽉 끼이는 옷은 입히지 말고, 특히 머리와 발은 차게 유지하고, 발은 아주 찬물에 씻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라는 것이다.
제2장 습관에 대하여
31 정신 Mind
신체가 정신의 명령을 따르고 실행할 수 있도록 체력과 활력을 유지하는 데 적절히 주의를 기울인 다음에는, 어떤 경우에도 이성적 동물인 인간으로서 존엄과 덕성에 어울리지 않는 행위는 하지 않도록 아이에게 올바른 정신을 심어주어야 한다.
32 인간의 태도와 능력의 차이는 다른 무엇보다 그들이 받은 교육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다.
아이의 정신을 형성하고 그것을 어릴 때부터 단련하는 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이것은 장래 아이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33 체력의 중요성은 주로 곤란을 견뎌낼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정신력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모든 덕성과 가치의 위대한 원칙과 기초는 자기 욕망이 이성이 지시하는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기우는 경우에 그 욕망을 거부하고, 때로는 자신의 천성의 경향까지 거역하면서 이성이 최선이라고 지시하는 바를 순순히 따르는 데 있다.
34 어릴 때의 버릇
많은 사람들이 자녀교육에 있어 범하는 커다란 실수는, 내가 관찰한 바에 의하면, 앞에서 말한 바를 응당 가르쳐야 할 시기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 최초에 아이의 정신이 매우 유연하여 아주 쉽게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시기에 아이의 정신이 규칙을 지키고 올바른 이성에 따르도록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모들은 천성적으로 자기 자식을 사랑하기 마련이므로, 이성이 그러한 자연스러운 애정을 주의해 감시하지 않으면 자식에 대한 부모의 애정은 쉽게 맹목적으로 변한다. 부모는 어린 자식을 사랑하며, 자식 사랑은 그들의 의무이기도 하다. 그러나 문제는 그들이 종종 어린자식들의 결점까지 좋아한다는 것이다.
일부 부모들은 어이없게도 아이는 어떤 일에서도 기가 꺽여서는 안되고, 무엇이든 하고 싶든 대로 하게 내버려 둬야 하며, 어차피 유아기에는 크게 나쁜 일을 저지를 능력도 없고, 약간의 규칙 위반으로 위험에 처하는 것도 아니며, 고집을 부리고 생떼를 쓰는 것조차 그 천진한 어린 나이에는 잘 어울리는 행동이므로 귀엽게 봐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면서 자기 자식의 잘못된 버릇을 고쳐주려 하기는커녕 그것을 사소한 문제로 치부하고 용서해주는 맹목적인 부모들도 있다.
35 버릇없이 자란 아이는 틀림없이 남을 때리고 , 남을 욕하라는 가르침을 받는다. 큰 소리로 요구하는 것은 무엇이든 손에 넣어야 하고,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드 해야만 직성이 풀린다. 부모들은 자식이 어릴 때에는 그 비위를 맞춰주고 응석을 받아줌으로써 아이의 타고난 본성을 버려놓는다. 그리고는 후에 가서 자신이 독을 풀어놓은 샘물의 맛이 쓰다고 이상하게 생각한다. 아이가 성장해서도 어릴 때 몸에 밴 나쁜 버릇들을 그대로 가지고 있을 때, 그가 너무 커서 더 이상 응석을 받아 줄 수 없게 되고 또 더 이상 장난감처럼 다룰 수 없게 되었을 때, 부모들은 자식이 버릇없고 비뚤어져서 제 힘으로는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다고 불평하고, 또한 자식들이 제멋대로 고집 부린다고 속상해 하고, 그 못돼먹은 성질 때문에 걱정하지만, 이 모든 것들은 부모 자신이 아이들의 머릿속에 씨를 뿌리고 길러온 결과이다. 그래놓고 뒤늦게, 자시들 손으로 심은 잡초, 이 미 뿌리를 깊이 내력서 뽑아 내기 힘들어진 그 잡초들을 뽑아버릴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생각하지만, 때는 이미 늦었다.
유아복을 입고 있을 때에는 뭣이든 제 맘대로 할 수 있었던 아이가, 바지를 입을 나이가 되어서도 계속 제 맘대로 하기를 바라고 또 제맘대로 하겠다고 강하게 주장하는 것이 무엇이 이상한가? 사실 아이가 자라 성인에 가까워질수록 나이와 더불어 그의 결점들은 더욱 두드러지는데, 이때가 되면 아무리 자식 사랑에 눈이 먼 부모라도 그 결점들이 논에 띌 수 밖에 없다. 자기가 아이를 버릇없이 잘못 키워서 나타난 결과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둔감한 부모는 없을 것이다.
아이가 더듬더듬 말을 시작한 이후로는 자기 부모를 자기 뜻대로 조정해 왔는데, 그런 그가 나이가 들어 힘도 세지고 머리도 잘 굴릴 수 있게 되었을 때, 그때 와서 갑자기 억제를 당해야 하고 구속을 받아야 한단 말인가! 왜 그 전까지는 부모가
[문서정보]
문서분량 : 9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사회과학 자료실 교육 자료실 존 로크의 교육론
파일이름 : [사회과학][교육] 존 로크의 교육론.hwp
키워드 : 사회과학,교육,존,로크,교육론,자료실,로크의
자료No(pk) : 1105755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