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샤머니즘과 라마교와의 관계 레폿 CM
- ientifi7626
- 2020년 12월 6일
- 1분 분량
몽골샤머니즘과 라마교와의 관계 레폿
몽골샤머니즘과 라마교와의 관계
따라서 몽골의 적극적인 라마교 수용과 티베트측의 적극적 전파를 낳아 샤머니즘의 변화를 결정적으로 초래한 2차접촉은 첫째, 겔룩파의 라마교의 화신...
따라서 몽골의 적극적인 라마교 수용과 티베트측의 적극적 전파를 낳아 샤머니즘의 변화를 결정적으로 초래한 2차접촉은 첫째, 겔룩파의 라마교의 화신설이 알탄칸의 칸위계승을 위한 사상적 배경을 제공해주었다는 결정적 사실과 이후 라마교와 몽골칸들 사이에 정치적 후원자가 되고 세속적 권위를 부여하는 성직자로서의 이해관계가 확립되었다는 사실 등에 기반한다. 이후의 다른 지역들의 몽골칸들이 라마교를 수용한 것도 대부분 정치적 목적에서였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북몽골의 라마교전파도 칼카의 아바다이 칸(Abadai Khan)이 그의 정치세력의 증대를 위해 달라이라마와 만남으로서 시작되었다. 또한 몽골에서의 라마교지배를 더욱 확고히 한 만주왕실도 중국의 정치적 지배를 위해 라마교를 국가적으로 지지한 것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통치를 보다 용이하게 전개하기 위해 라마교를 지지했고 나아가 라마교가 신학적인 면에서 티베트과 연결되었음에도 몽골의 라마교단을 티베트으로부터 행정적 정치적으로 분리시켜, 북경에서 통치하려 하였던 것이다.(Heissig, 33-34)
결론적으로 몽골샤머니즘이 라마교적 영향하에 변형되게 된 계기를 마련한 중요한 배경은 몽골칸들의 몽골내에서의 권력확립 혹은 티베트통치권장악을 위한 정치적 의도와 종교이면서 또한 정치적 세력이기도 했던 티베트불교가 가진 또 하나의 권력지향적 성격이 결합된 역사적 상황이다. 이러한 정치적 이해관계는 칸들이 라마교를 받아들인, 그래서 칸과 라마승이 결합하게 된 직접적 계기였다.
몽골의 라마교개종을 이끈 2차접촉을 원인지은 몽골칸들과 라마교의 관계는 불교와 국가의 관계에 관한 비교역사적 탐구에서 밝혀진 ‘인도나 중국을 제외한 다른 곳에서의 불교전파가 중앙집권화된 군주국가의 형성이나 왕권의 강화와 연결된다는’는 사실과도 무관하지 않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20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몽골샤머니즘과 라마교와의 관계
파일이름 : 몽골샤머니즘과 라마교와의 관계.hwp
키워드 : 몽골샤머니즘과,라마교와의,관계
자료No(pk) : 16050422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