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업로드 위대한 개츠비를 읽고 등록 ZI
- ientifi7626
- 2020년 12월 21일
- 2분 분량
독후감 업로드 위대한 개츠비를 읽고 등록
독후감 업로드 위대한 개츠비를 읽고
[독후감]위대한 개츠비를 읽고
위대한 개츠비를 읽고
작가: 스콧 피츠제럴드
이 책은 1920년대, 물질적으로 풍요롭지만 정신적으로 공허하고 타락한 미국 사회를 잘 그려낸 책이다. 경제가 매우 성장하자 사람들은 물질적 풍요를 누리게 되지만, 그 뒤에는 정신적 공허라는 그림자를 작가는 이 책에 잘 나타내었다. 위대한 개츠비는 닉 캐러웨이의 시선으로 친구 개츠비의 일생을 바라보고 있다. 개츠비는 빈농의 아들이지만, 어릴 때부터 신의 아들을 자칭하는, 성공에 대한 야심을 품고 있는 인물이다. 그런 그가 제1차 세계대전 중, 미 육군 장교가 되어 우연히 상류층 가문의 데이지를 만나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개츠비는 유럽전선으로 전쟁을 떠나게 되고 데이지는 결국 돈 많은 톰과 결혼을 하게 된다. 전쟁에서 돌아온 개츠비는 그녀가 자신을 사랑하면서도 결국 톰과 결혼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자신의 가난 때문이었음을 실감하고 그녀를 찾기 위해 더욱 더 성공과 부에 집착하게 된다. 데이지의 남편인 톰은 겉보기에는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있는 것 같지만, 자동차 정비사 윌슨의 아내 머틀과 애인으로 지낸다. 어느 날 톰, 개츠비, 데이지, 골프 챔피언 죠던, 그리고 닉은 시내로 같이 드라이브를 떠나게 된다. 늦은 밤, 다시 마을로 돌아오던 중, 개츠비와 데이지가 몰던 차가 머틀을 치게 되고 그녀는 그 자리에서 즉사한다. 그 후, 데이지와 개츠비는 도주를 하게 되는데, 톰은 개츠비가 윌슨의 부인, 머틀을 죽였다고 윌슨에게 알려주었다. 비겁하게도 톰은 개츠비가 머틀과 애인사이였다가 들킬 것 같으니까 증거를 없애기 위해 머틀을 죽였다고 윌슨을 속인다. 얼마 후, 개츠비는 자신의 집 수영장에서 윌슨의 총에 맞아 죽은 채로 발견되었고, 정원 구석에서 윌슨이 자살한 채 발견되어 있었다. 톰과 데이지는 결국 마을을 떠나버리고, 개츠비의 장례식장에는 그 많던 친구들은 한 명도 오지 않고, 단지 닉과 개츠비의 아버지만 참석하여 쓸쓸함만이 남는 슬픈 장례식이었다.
`누군가를 비판하고 싶을 때는 이 점을 기억해 두는 게 좋을 거다. 세상의 모든 사람이 다 너처럼 유리한 입장에 서 있지는 않다는 것을.“
화자가 되고 있는 닉 캐러웨이의 아버지가 어린 시절 그에게 했던 충고였다. 이 충고를 충실히 받아들인 캐러웨이는 개츠비를 바라보는 데 있어 이 관점을 확실하게 수행한다.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들이 추구하는 삶이 있다. 누군가를 부를 쫓고 누구는 사랑을, 누구는 명예를 좇아 한평생을 달려간다. 하지만 각자가 다른 꿈을 쫓아가듯 사랑, 부와 명예라는 한 방향으로 달려가는 사람들조차도 각자가 이루고자하는 욕망과 꿈은 모두가 다르다. 개츠비는 자신의 꿈을 좇아 새로운 신분을 만들어내는 야심만만한 사람이었다. 그 배경 속엔 출신배경이 전혀 다른 데이지라는 여인과의 사랑도 큰 몫을 차지한다. 범죄행위로 벌어들인 돈으로 주말마다 성대한 파티를 열면서 이웃집에 사는 옛 애인 데이지가 찾아오기만을 바란다. 그는 과거를 온전히 되돌려 그녀와의 사랑을 되찾고자 갈망한 낭만적 이상주의자이다. 유부녀를 향한 그의 사랑은 도덕적으로 타락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어떻게 보면 순정이 아닐까 작가 피츠제럴드는 이 책을 통해 그 시대의 분위기를 세밀하게 그려내어, 책을 읽는 내내 나는 그 시대, 그 때의 분위기를 제대로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만약에 내가 개츠비였다면 어떤 선택을 하였을까 나 같으면 데이지가 이미 나를 떠났으므로 친구로 지내고, 차라리 새로운 사람을 만났을 것 같다. 데이지에만 미친 듯이 빠져있는 개츠비를 보고 나는 약간 정신이 이상한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지만, 이것이 첫사랑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게 아닌가 싶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2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독후감 업로드 위대한 개츠비를 읽고
파일이름 : [독후감]위대한 개츠비를 읽고.hwp
키워드 : 독후감,위대한,개츠비,업로드,개츠비를,읽고
자료No(pk) : 16215194
Comentá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