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의 정의와 특징,갈래 및 설화(신화,전설,민담) Up US
- ientifi7626
- 2020년 12월 20일
- 2분 분량
구비문학의 정의와 특징,갈래 및 설화(신화,전설,민담) Up
구비문학의 정의와 특징,갈래 및 설화(신화,전설,민담)
구비문학의 정의와 특징,갈래 및 설화(신화,전설,민담)
구비문학
차례
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특징
구비문학의 갈래
설화
- 신화
- 전설
- 민담
구비문학의 정의
말로 된 문학. 글로 정착된 기록 문학과 함께
언어 예술인 문학의 한 종류다.
-한국 민족 대 백과-
구비문학은 말로 된 문학을 지칭한다.
-강등학 외,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월인,2002.-
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은 ‘말로 된 문학'을 의미하고,
‘글로 된 문학'인 기록문학과 구별된다.
-장덕순 외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구비문학은 입을 통해 구술되는 말로 된 문학이다.
-金泰坤 外, 『韓國口碑文學槪論』, 民俗苑, 1995.-
구비문학의 특징
구비문학은 말로 된 문학이다.
구비문학은 구연되는 문학이다.
구비문학은 공동작의 문학이다.
구비문학은 단순하며 보편적인 문학이다.
구비문학은 민중적민족적 문학이다.
구비문학의 갈래
조동일 - 갈래구분
구비문학
말
(옛 말,
수수께끼)
이야기
(설화)
노래
(민요, 굿 노래,
판소리)
놀이
(무당 굿 놀이,
꼭두각시놀음, 탈춤)
2. 일반적인 갈래구분
구비문학
설화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설화
설화의 정의
설화는 이야기를 뜻하며,
이야기판에서 생성, 전달, 전승되는 언어예술이다.
-강등학 외,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2-
설화는 자아와 세계의 신화적 질서, 세계의 전설적 경이,
자아의 민담적 능력 같은
그 자체로서는 사실이 아닌 가정을 통해서
사실 이상의 사실을 다루는,
전후의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이야기이다.
-조동일, 『구비문학의세계』,새문사, 1980.-
설화의 정의
설화는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이다.
-장덕순 외,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설화는 개인의 창작물이 아니라 민족적 집단의 공동생활 속에서 공동심성에 의하여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문자 기록 이전의 구전문학으로,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이다.
-金泰坤 外, 『韓國口碑文學槪論』, 民俗苑, 1995.-
설화의 특징
설화는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이다.
설화는 구전된다.
설화는 산문성이 있다.
설화는 연행에 개방성이 있다.
설화는 화자의 자격에 제한이 없다.
설화는 보편성이 있다.
설화의 갈래
신화
전설
민담
설화
설화의 갈래구분
전승자의 태도에 따라..
신화 : 진실되고 신성하다고 인식
전설 : 신성하다고까지는 생각하지 않으나,
진실되다고 믿고 실제로 있었다고 주장
민담 : 민담이 신성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진실되다고 생각하지도 않음
설화의 갈래구분
시간과 장소에 따라..
신화 : 아득한 옛날, 일상적인 경험으로
측정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 태초에 일어난 일
전설 : 구체적으로 제한된 시간과 장소를 가짐
민담 : 뚜렷한 장소와 시간이 없는 것이 보통
설화의 갈래구분
증거물 유무에 따라..
신화 : 증거물 매우 포괄적임
전설 : 특정한 개별적 증거물을 가짐
민담: 이야기가 그 자체로 완결되며,
증거물에 호소할 필요가 없음
설화의 갈래구분
주인공과 그의 행위에 따라..
신화 : 신 - 신이 지닌 능력을 발휘함
전설 : 신화나 민담의 주인공보다 왜소한 경향의,
한정해서 말할 수 없는 여러 종류의 인간.
- 인간과 인간, 또는 인간과 사물 사이에서 일어나는
예기치 않던 관계를 성공적으로 극복하지 못하는 경향이 많음
민담 : 대부분 일상적인 인간 -어떠한 난관에 부딪혀도
이를 극복하고 운명을 개척.
설화의 갈래구분
전승 범위에 따라..
신화 : 민족적인 범위에서 전승
전설 : 증거물의 성격상 대체로 지역적인 범위를 가짐
민담 : 지역적인 유형이나 민족적인 유형은 있지만
어느 지역이나 민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설화의 갈래구분
기능에 따라..
신화 : 전승집단의 신앙을 요청, 그 집단 단결의 핵심적 역할
전설 : 일정한 지역을 발판으로 그 지역 주민들의
지역적인 유대감 조성, 애향심 고취
민담 : 흥미 본위의 사교적 교환물.
예능적, 문학성이 두드러짐
설화의 갈래구분
설화의 갈래는 고정적인 것이 아님 (유동적)
같은 이야기가 전승자의 태도에 따라
신화, 전설, 민담이 될 수 있음
설화 - 신화
신화의 특징
신성에 관한 이야기
상징의 언어를 취함
무엇인가의 ‘시원’ 또는 ‘근원’에 대해 이야기
신성한 창조적 시원에 대한 상정적 언술
신계나 신성의 존재 여부보다는
그러한 세계 및 존재에 대한 인간의 관여,
곧 믿음에서 생겨남
신화의 분류
신화
건국신화
성씨시조신화
마을신화
종교신화
기타
민간신화
건국신화
국가적인 범위에서 신성시되는
국가 창건의 시조 및 관련 신 격에 관한 신화
고조선, 부여, 고구려, 신라, 가야국 신화가 전승
[문서정보]
문서분량 : 68 Page
파일종류 : PPTX 파일
자료제목 : 구비문학의 정의와 특징,갈래 및 설화(신화,전설,민담)
파일이름 : 구비문학의 정의와 특징,갈래 및 설화(신화,전설,민담).pptx
키워드 : 구비문학,정의와,특징,갈래,설화,신화,전설,민담,구비문학의,및
자료No(pk) : 15120742
Commenti